주택관리사(보) 시험 - 준비하기

 

 

1.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하기 - 현재글
2. 주택관리사(보) 1차 시험
3. 주택관리사(보) - 1차 시험 : 동서울 대학교 + 주차
4. 주택관리사(보) - 2차 시험 : 주택관리관계법규, 공동주택관리실무 
5. 주택관리사(보) - 2차 시험 : 수원공업고등학교 + 주차
6. 주택관리사(보) 합격 수기 (1) - 에듀윌 주택관리사
7. 주택관리사(보) 합격 수기 (2)

 

 

0. Overview

개략적인 설명은 아래 나무위키 링크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https://namu.wiki/w/%EC%A3%BC%ED%83%9D%EA%B4%80%EB%A6%AC%EC%82%AC

 

주택관리사

공동주택관리법 제64조(관리사무소장의 업무 등) ①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

namu.wiki

 

<주택관리사> 는 <주택관리사보>로 주택관련 업계에서 5년의 경력을 쌓거나 500세대 미만의 공동주택 관리소장으로 3년의 경력을 쌓으면 자격증이 발급됩니다. <주택관리사> 는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관리소장으로 일할 수 있게 되며, 상대적으로 <주택관리사보> 에 비해 더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관련 업계의 경력이 있는 분들이 지원하셨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원 자격이 특별하게 요구되지 않는 덕인지 최근에는 다양한 경력을 가지신 분들이 많이 지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관리비 공개
의무 단지수
14351 14807 15393 16043 16644 17134 17575 18041 18573

출처 : https://www.k-apt.go.kr/

 

위 표는 <관리비 공개 의무 단지수> 로 <주택관리사> 혹은 <주택관리사보> 를 의무 고용해야 하는 단지와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비슷한 숫자입니다. 이 숫자로 유추해 보면, 전국에 약 2만여명 정도의 주택관리사 혹은 주택관리사보 자격증을 지닌 인력이 필요합니다.

 

26회 주택관리사(보) 2차 합격자 연령분포

 

 

 

지원자와 현재 재직 중인 연령대를 감안해보면, 주택관리사는 전반적으로 55세 정년 이후 65세 연금이 나오는 시점까지 - 조금 넓게 보면 50~70세 까지 10~20년 정도 일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년 전후를 대비하기 위해 40대부터 미리 준비하시는 분들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뉴스에서는 평생직장으로 소개하고는 하는데, 70세 이상인 분들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을 보면, 자의든 타의든 70세 이상 일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ㅠ)

 

어쨋거나, 자격증 자체를 국가에서 위 숫자에 맞춰 발급하고 있다고 봐야하는데, 그 덕분에 수요-공급이 거의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고연봉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박봉이라고 할 수 없으며, 업무난이도에 비하면, 괜찮은 편으로 평가됩니다.

 

워라밸이 괜찮다고 볼 수 있지만, 알고보면 주로 사람을 대하는 것이 일인지라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더러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Update 25. 1. 6
여기저기 다니다보니, 주택관리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기전반장 같은 직책으로 일하시는 분들이 상당합니다. 이 분들의 커리어는 보통 안전관리자 직책이나 관리과장으로 시작해서 주택관리사(보) 자격증을 취득한 뒤, 관리사무소장으로 일하시다 다시 기전반장을 하시는데, 이유는 월급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고, 상대적으로 사람을 대하는 스트레스가 없어서라고 합니다. 

 

응시 자격이 없기 때문에(전공불문, 경력불문), 누구나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다양한 분들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분들 지원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1. 주택관리사(보) 자격 시험 

1차 시험은 회계원리, 주택관리개론, 민법 세 과목이고, 3과목 과락 40점 미만 과목이 없으면서, 평균 60점을 넘으면 합격하는 절대평가입니다. 세 과목 모두 5지선다 객관식 40문항 - 50분인데, 시험 시간은 2교시로 나누어서, 회계원리와 주택관리개론을 100분동안 시험을 보고, 나머지 민법을 50분동안 치릅니다.

 

2024년 현재 기준으로 매년 약 2만여명이 시험에 지원하고 있고, 이 중 80%인 1만 6천명 정도가 매년 응시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500~3000 명 정도 합격하고 있습니다. 시험 난이도는 합격하는 인원이 매년 선발하고자 하는 숫자(1600~1700명) 수준으로 출제를 하려고 하는 경향이 보입니다.

 

주택관리사(보) 1차시험 지원자수 및 합격자수 추이

 

지원 자격이 없기 때문에, 누구나 지원할 수 있지만, 시험 과목 성격상 누구나 합격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3과목이 모두 다 다른 전공이어서, 민법 - 법학, 회계원리 - 경영/경제, 시설개론 - 건축/토목/전기, 이 중 어느 한 분야를 전공하거나 업계에 있었다 하더라도 나머지 두 과목의 영역은 대부분 문외한이기 때문에, 마음먹고 공부하지 않는 이상 쉽게 볼 수가 없습니다.

 

필자의 경우 공부를 시작하고자 처음 201X 년도 기출문제를 풀어봤을 때, 3과목 모두 20~40점 대가 나왔습니다.
즉, 아무 배경지식이 없을 때, 시험을 본다면, 5지선다 문제를 전부 찍은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점수가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1차 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다음연도 2차 시험까지 자격이 주어집니다. 결과적으로 2차 시험의 경쟁률은 2 : 1 이 약간 안되는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차 시험은 주택관계법규, 주택관리실무 두 과목 50분간 객관식 60점, 주관식 40점 시험을 치릅니다. 2차 시험은 상대평가로 선발하고자 하는 상위 인원 1600~1700명 이 합격합니다.

 

2차 시험 역시 과락 40점, 두 과목 평균 60점 이상인 사람을 기준으로 선발합니다.

하지만, 과락 점수인 40점 근처를 맞으면 2 과목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합격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고,

상대평가로 바뀐 이후 평균 60점 이상이 커트라인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2차 시험에서 과락 점수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주택관리사(보) 2차시험 지원자수 및 합격자수 추이

 

 

3. 응시료 와 응시율

1차 시험은 21000원 2차 시험은 14000원 입니다. ( 2024년 현재 기준 )

응시료가 그렇게 비싸지 않아서인지 1차 응시율은 80% 수준입니다.

실제 시험장에서 느끼기에는 훨씬 더 적은 숫자가 응시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시험보다 나간 사람까지 합쳐서.. ^^;;

 

1차 시험에 합격할 경우, 다음 연도 2차 시험까지 기회가 주어집니다.

그래서 인지 2차 시험의 응시율은 97% 이상입니다.

실제 시험장에서 느끼기로 2차 시험은 결시한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2차는 1차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더 의지가 확실한 사람들이고,

1차 합격 후, 2번의 기회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설령 공부를 하지 않고 다음 해 합격을 목표로 하더라도 경험상 시험을 보러 오는 것 같습니다. 

 

4. 요약

 

  • 주택관리사는 공동주택관리법에 의하여 공동주택(아파트)의 관리를 하는 자격이며,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은 관리사무소의 관리책임자로서 주택관리사/주택관리사(보) - 주택관리사보는 500세대 미만 공동주택 -를 반드시 (의무적으로) 채용해야 합니다.
    • 법적으로 300세대 이상 혹은 150세대 이상 일부 공동주택, 그리고, 입주자 등이 동의할 경우 150 세대 미만의 공동주택도 주택관리사(보)를 의무적으로 채용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현재 상대 평가로 변경된 뒤, 자격증 소유자의 수요와 공급이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어, 시험에 합격할 경우, 대부분 취업에는 성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 주택관리사(보) 시험 준비하기 - 현재글
2. 주택관리사(보) 1차 시험
3. 주택관리사(보) - 1차 시험 : 동서울 대학교 + 주차
4. 주택관리사(보) - 2차 시험 : 주택관리관계법규, 공동주택관리실무 
5. 주택관리사(보) - 2차 시험 : 수원공업고등학교 + 주차
6. 주택관리사(보) 합격 수기 (1) - 에듀윌 주택관리사
7. 주택관리사(보) 합격 수기 (2)